• Skip to primary navigation
  • Skip to main content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IoTmaker

사물인터넷에 대한 모든 것 여기서 해결하셔요!

  • 홈
  • 책:마이크로파이썬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 책:따라 하면서 배우는 사물인터넷
  • 온라인 교육 코스
  • 새로운 소식
  • 의견보내기
  • 내 수강정보
  • 로그인
  • 회원가입

Node-RED

윈도우즈에서 Node-RED에 인증서 등록하고 SSL 적용하기

2023-03-15 작성자 IoTmaker 댓글 달기

책에서 사용하는 부품 구입하기

오픈 소스 프로그램인 OpenSSL을 사용하여 개인키와 인증서를 만들어서 Node-RED에 등록하면, https 통신 방식으로 안전하게 Node-RED에 접속할 수 있게 됩니다.

먼저 다음 링크에서 OpenSSL를 설치하고 인증서를 발행해야 합니다.

윈도우즈에 OpenSSL 설치하고 인증서 발행하기

 1  인증서 확인하기

OpenSSL을 사용하여 인증서를 미리 만들어 두어야 합니다. 탐색기를 이용하여 인증서가 있는 폴더 위치를 확인해 둡니다.

인증서가 폴더c:\Users\USER\certs에 있습니다.

파일 cert.pem과 privKey.pem를 Node-RED가 설치된 폴더 C:\Users\USER\.node-red로 복사합니다.

Node-RED는 사용자 계정 아래 .node-red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2  Node-RED의 settings.js 파일 열기

폴더 C:\Users\USER.node-red에 있는 설정 파일 settings.js을 편집하기 위하여 엽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파일을 메모장에 엽니다.

 3  Node-RED의 settings.js 파일 편집하기

메모장에서 다음 부분을 편집합니다.

파일 path를 지정할 때 \ 대신 /을 지정해야 합니다.

  https: {
      key: require("fs").readFileSync('C:/Users/USER/.node-red/privkey.pem'),
      cert: require("fs").readFileSync('C:/Users/USER/.node-red/cert.pem')
    },
  requireHttps: true,

파일을 저장합니다.

 4  Node-RED에 다시 접속하기

Node-RED가 실행중이라면 중지하고 다시 Node-RED를 실행합니다.

앞 화면과 같은 내용이 출력되면 Node-RED가 제대로 실행된 것입니다.

 5  https로 Node-RED에 접속하기

OpenSSL을 사용하여 만든 자체 서명 인증서(self-signed certificate)는 개인이 임의로 만든 것이며, 외부 공인 기관이 인증한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이 인증서를 사용한 컴퓨터에 접속하면 브라우져는 신뢰성이 낮다고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내 보냅니다. 물론 경고 메시지가 나오더라도 그 컴퓨터를 신뢰한다면 보안상의 문제는 없습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개인 용도의 업무에는 OpenSSL로 만든 자체 서명 인증서(self-signed certificate)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브라우져는 외부 공인 인증 기관들의 인증서 정보를 미리 보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공인 인증서를 사용한 컴퓨터에 접속할 때는 경고 메시지가 나오지 않게 됩니다.

브라우져를 열어서 다음과 같이 https로 시작하는 주소를 입력합니다. Node-RED가 설치된 PC가 아닌 곳에서 사용할 때는 localhost 대신 IP 주소를 지정해야 합니다.

보안 경고가 나오더라도 고급 버튼을 누릅니다.

다시 localhost(안전하지 않음)을 누르면 Node-RED 플로우 편집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앞 두 화면은 브라우져별로 첫 번째로 접속할 때만 나타납니다. 브라우져의 접속 기록이 지워지면 보안 경고 화면은 다시 나타납니다. 보안 경고 형식은 브라우져 종류별로 다르지만 내용은 비슷합니다.

이 화면이 나오면 모든 것이 제대로 작동하는 것입니다.

카테고리:IoT, Node-RED 태그:Node-RED

라즈베리파이로 IoT 서버 만들기

2020-08-03 작성자 IoTmaker

스마트 홈이나 스마트 팜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디바이스가 필요합니다. 디바이스의 개수가 많아지면 디바이스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메시지 브로커가 필요하고, 이러한 디바이스를 통제할 대시보드도 필요하게 됩니다.

책 따라 하면서 배우는 사물인터넷에서는 라즈베리파이에 IoT 서버를 구성할 것을 권장합니다. IoT 서버의 기본 소프트웨어는 Mosquitto라는 메시지 브로커와 Node-RED라는 대시보드 소프트웨어입니다.

라즈베리파이는 5만원 정도에서 구입 가능한 싱글보드 컴퓨터입니다. 2.5A 정도의 USB어댑터를 전원으로 사용가능한 저전력 기기이므로 상시가동해도 부담이 적습니다.  

라즈베리파이의 운영 체제(OS)는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입니다. 윈도우즈에만 익숙한 사용자라면 라즈베리파이에 여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oTstack이라는 메뉴 방식의 스크립트를 중심으로 웹 페이지를 구성하였습니다. 처음 접하는 환경이라 낯설겠지만, 웹페이지의 내용을 따라하면 크게 어렵지 않게 IoT 서버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웹페이지에는 Mosquitto와 Node-RED를 설치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외부 인터넷에서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VPN(가상사설망)과 사용자 도메인을 관리하기 위한 duckdns.org 설정 방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포트 포워딩으로 AP(공유기)를 외부에 개방하는 방법도 안내합니다.

이 웹페이지에서는 도커(Docker)라고 하는 컨테이너 개념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이용하여 여러 소프트웨어를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처음에는 Mosquitto와 Node-RED만 설치하면 되지만 나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IoT 센서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데이타 베이스인 InfluxDB나 데이터를 비주얼하게 보여주는 Grafana와 같은 소프트웨어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IoT 서버를 만들면 IoT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쉬워집니다.

라즈베리파이에 IoT 서버 설치하기

카테고리:IoTbook 태그:Grafana, InfluxDB, IoTstack, Mosquitto, Node-RED

Primary Sidebar

최신 글

  • 윈도우즈에서 Node-RED에 인증서 등록하고 SSL 적용하기
  • 윈도우즈에 Openssl 설치하고 인증서 만들기
  • 윈도우즈에 Node-RED 설치하고 실행하기
  • 아두이노 2.0 설치하고 ESP8266/ESP32 보드매니저 설정하기
  • 윈도우즈에 설치한 Mosquitto에 원격 접속허용하기

최신 댓글

    보관함

    • 2023년 3월
    • 2023년 2월
    • 2021년 8월
    • 2021년 2월
    • 2020년 10월
    • 2020년 8월
    • 2020년 7월

    카테고리

    • ESP32
    • ESP8266
    • IoT
    • IoTbook
    • Node-RED
    • 분류안됨

    메타

    • 로그인
    • 엔트리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Footer

    Copyright © 2025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