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ip to primary navigation
  • Skip to main content

IoTmaker

사물인터넷에 대한 모든 것 여기서 해결하셔요!

  • 홈
  • 책:마이크로파이썬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 책:따라 하면서 배우는 사물인터넷
  • 온라인 교육 코스
  • 새로운 소식
  • 의견보내기
  • 내 수강정보
  • 로그인
  • 회원가입

Node-RED 사용자 지정하기(윈도우즈)

이 글은 윈도우즈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라즈베리 사용자의 경우는 다음 페이지를 이용하기 바랍니다.
Node-RED 사용자 지정하기(라즈베리 파이)
Node-RED 비밀 번호 해시 만들기
Node-RED의 작성기와 대시보드에 사용자 ID와 비밀 번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비밀 번호해시(hash)를 만듭니다. 해시(hash)는 별도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원본과 다르게 해독하기 어려운 문장으로 바꾼 것입니다.

다음 순서대로 실행합니다.

+R 키를 누르면 다음 화면이 나옵니다. cmd가 선택된 채로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명령 프롬프트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node-red admin hash-pw
Password를 입력하면 비밀번호 해시가 나타납니다. 여기서는 임의로 gildongcoolguy라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습니다.

비밀번호 해시는 다음 단계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복사해 둬야 합니다. 이 때 입력했던 비밀번호도 기록해 둡니다.

다음은 복사해 둔 비밀번호 해시입니다.

$2b$08$DZxddGmgxzqI0HfGLWTx2OAQqUdjL6nkI7dy1T5kegwL8QY4flDAq

비밀번호 해시는 몇 개든지 만들 수 있습니다.

settings.js 파일 수정하기
settings.js 파일에 Node-RED의 설정 정보가 있습니다. 앞 단계에서 만든 비밀 번호 해시를 이용해서 이 파일을 수정합니다.

탐색기에서 C:\사용자\로그인_사용자\.node-red\settings.js파일을 (더블 클릭하지 말고) 선택하여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서 편집 메뉴를 선택합니다.

다음과 같은 편집 화면이 나타납니다.

편집기에서 다음 부분을 찾습니다. 이 때 편집기의 윈도우 화면은 크게 하는 것이 편합니다.

// property can be used. See http://nodered.org/docs/security.html for details.
//adminAuth: {
//    type: "credentials",
//    users: [{
//        username: "admin",
//        password: "$2a$08$zZWtXTja0fB1pzD4sHCMyOCMYz2Z6dNbM6tl8sJogENOMcxWV9DN.",
//        permissions: "*"
//    }]
//},

// To password protect the node-defined HTTP endpoints (httpNodeRoot), or
// the static content (httpStatic), the following properties can be used.
// The pass field is a bcrypt hash of the password.
// See http://nodered.org/docs/security.html#generating-the-password-hash
//httpNodeAuth: {user:"user",pass:"$2a$08$zZWtXTja0fB1pzD4sHCMyOCMYz2Z6dNbM6tl8sJogENOMcxWV9DN."},
//httpStaticAuth: {user:"user",pass:"$2a$08$zZWtXTja0fB1pzD4sHCMyOCMYz2Z6dNbM6tl8sJogENOMcxWV9DN."},

앞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명령어 앞의 //를 없애고 두 군데에서 나타나는 password:와 pass: 다음의 비밀 번호 해시는 앞 단계에서 복사해 둔 비밀 번호 해시로 바꿉니다.

// property can be used. See http://nodered.org/docs/security.html for details.
adminAuth: {
    type: "credentials",
    users: [{
        username: "admin",
        password: "$2a$08$4lPtYiJ5KuL3UJxshj2i6uSwIDeCZPGBJZlYjRlaSAUC/UHnBvYJW",
        permissions: "*"
    }]
},

// To password protect the node-defined HTTP endpoints (httpNodeRoot), or
// the static content (httpStatic), the following properties can be used.
// The pass field is a bcrypt hash of the password.
// See http://nodered.org/docs/security.html#generating-the-password-hash
httpNodeAuth: {user:"user",pass:"$2a$08$4lPtYiJ5KuL3UJxshj2i6uSwIDeCZPGBJZlYjRlaSAUC/UHnBvYJW"},
//httpStaticAuth: {user:"user",pass:"$2a$08$zZWtXTja0fB1pzD4sHCMyOCMYz2Z6dNbM6tl8sJogENOMcxWV9DN."},

수정된 파일을 보관합니다.

Node-RED 다시 실행하기
실행중인 Node-RED 명령 프롬프트에서 화면에서 Ctrl+C 키를 누릅니다.

일괄 작업을 끝내시겠습니까? 메시지가 나오면 Y를 입력하여 Node-RED을 끝내고 명령프롬프트 입력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또는 Node-RED가 실행중인 터미널 위도우를 닫으면 Node-RED가 종료됩니다.

다시 명령프롬프트에 node-red를 입력하여 Node-RED를 실행합니다.

node-red
만약 윈도우즈 부팅시에 Node-RED가 자동으로 시작된 경우라면 윈도우즈를 다시 부팅하면 됩니다.
Node-RED 로그인하기

이 단계를 거치면 Node-RED 작성기의 사용자 ID는 admin이며 비밀 번호는 gildongcoolguy입니다. Node-RED 대시 보드의 사용자 ID는 user이며 비밀 번호는 gildongcoolguy입니다.

Node-RED 작성기 로그인 화면
Node-RED 대시보드 로그인 화면
여기서는 사용자 ID admin과 user를 사용하고 비밀 번호는 공통으로 gildongcoolguy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제에는 본인의 것으로 바꾸어서 지정하여야 합니다.

Copyright © 2025 ·로그인